Q
조회수302
최근 아는 사람이 제 집 주변을 배회하고, 자꾸 전화하고 카톡으로 괴롭게 합니다. 이런 경우 스토킹범죄로 신고할 수 있을까요? 경찰에 신고하면 어떤 절차를 거쳐서 저를 보호해 주는지, 그리고 가해자가 이를 위반했을 때 어떤 처벌을 받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스토킹범죄
관련 문의 답변
스토킹 피해를 신고하면 경찰은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상황에 맞는 보호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먼저 스토킹범죄 신고 시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 스토킹 행위를 제지·중단시키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며, 향후 위반 시 처벌 가능성을 서면경고로 알리는 응급조치를 시행합니다(법 제3조).
만약 스토킹 행위가 반복될 우려가 있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라면 경찰은 사후 승인을 조건으로 최대 1개월까지 100m 이내 접근금지나 전기통신을 통한 접근금지를 명령할 수 있습니다(법 제4조, 제5조).
이때 가해자가 이를 위반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법 제20조제3항).
또한 재범 우려가 큰 경우, 검사는 법원에 신청하여 최대 3개월(연장 가능) 동안 접근금지, 전기통신 접근금지, 유치장 유치 등의 조치를 결정받을 수 있습니다(법 제8조, 제9조).
이를 위반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법 제20조제2항).
또한 스토킹처벌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민사집행법」에 따른 접근금지가처분이나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접근금지 명령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스토킹범죄 발생 시 즉시 경찰(112)에 신고하고 가능한 증거(통화기록, 메시지, CCTV 등)를 확보하는 것이 안전과 법적 보호를 위해 중요합니다.
경호변호사
법률상담예약
모든 상담은 전문변호사가 사건 검토를 마친 뒤
전문적으로 진행하기에 예약제로 실시됩니다.
가급적 빠른 상담 예약을 권유드리며,
예약 시간 준수를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상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화상담
365일 24시간 상담접수 가능
카톡상담
카카오톡채널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온라인상담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