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교통사고검찰송치된 의뢰인 사건 정황

- - 교통사망사고 후 법적 절차
- -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란?
-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관련 법령은?
- 2. 교통사고검찰송치 후 재판 단계 의뢰인, 처벌 방어 위한 변론 전략

- - 변론전략 1. 의뢰인의 과실이 없었다는 점 주장
- - 변론전략 2. 피할 수 없던 사고임을 주장
- - 변론전략 3. 의뢰인이 사고방지 의무를 게을리 했다는 점 반박
- 3. 교통사고검찰송치 후 재판 단계 의뢰인 도와 무죄 처벌 받아내

1. 교통사고검찰송치된 의뢰인 사건 정황

교통사고검찰송치된 의뢰인의 사건의 정황은 이렇습니다.
사건 당일은 새벽 3시경, 의뢰인은 출장을 다녀오는 길에 어두컴컴한 도로를 운전하고 있었습니다.
의뢰인은 제한속도를 지키며 주행하고 있었으나 갑자기 도로 왼쪽 차선에서 튀어나온 피해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그만 들이받고 말았습니다.
예견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사고로 피해자는 결국 사망하게 되었고, 의뢰인은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치사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피해자가 사망했다는 소식에 매우 두려웠던 의뢰인은 긴급히 교통사고 전문변호사를 찾아 처벌 방어를 위한 대응 조력을 요청하였습니다.
교통사망사고 후 법적 절차
다음은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 치사 혐의를 받게 될 경우, 사고 후의 법적 절차입니다.
| 경찰 조사 및 검찰 송치 사고를 조사한 경찰은 운전자의 과실여부를 판단 후 형사 입건 절차 진행 |
| 검찰 기소 여부 결정 경찰 수사 후 검찰로 사건이 송치,검사는 운전자의 과실 정도를 파악한 후 기소 유예 혹은 정식 기소와 같은 결정 진행 |
| 재판 진행(1, 2, 3심까지 가능) 기소 후 정식 재판이 열리면 피고인은 법정에서 과실 여부 다투게 됨 |
교통사고검찰송치 이후, 검사는 의뢰인이 운전자로서 과실이 무겁다고 판단해 의뢰인을 정식 기소하였습니다.
이에 의뢰인은 정식 재판을 앞두고 있었으며,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는 의뢰인을 변호하기 위해 관련 법령을 검토하였습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란?
교통사고처리특례법(약칭: 교통사고처리법) 제2조에서는 교통사고란 차의 교통으로 인해 사람을 사상하거나 물건을 손괴하는 것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교통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일입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업무상 과실이나 중대한 과실로 인해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운전자에게 형사 처벌의 특례를 적용하는 법률입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사)혐의가 적용되면 단순 과실 사고와는 다르게 법적 절차를 밟고 실형이 선고될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관련 법령은?
우리나라 법에서는 단순 교통사고와 인명 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다르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교통사고는 피해자와의 합의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형사 처벌을 피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나, 사망사고를 낸 경우에는 유족과 합의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정식 재판으로 이어져 형사 처벌을 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실형 방어를 위해 사건초기부터 신속히 전문변호사를 찾아와 사건의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철저한 변론 전략을 수립해 대응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교통사고검찰송치 후 재판 단계 의뢰인, 처벌 방어 위한 변론 전략

교통사고검찰송치 이후 정식 재판을 받게 된 의뢰인의 무죄를 위해 변호사는 다음과 같은 변호 전략을 세워 조력했습니다.
변론전략 1. 의뢰인의 과실이 없었다는 점 주장
교통사고전문변호사는 의뢰인의 과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증거수집·조사그룹과 협업해 의뢰인 차량의 블랙박스를 수집해 분석하고, 국과수에 감정 의뢰를 맡겨 사고 당시 의뢰인의 차량 속도를 파악하였습니다.
당시 도로의 제한 속도는 60km/h였고, 블랙박스 상의 화면과 국과수 감정 의뢰 결과지를 통해 추정한 의뢰인 차량의 속도는 오차 범위 이하인 55km/h였으며, 이 점으로 보아 전방을 주시하며 제한 속도에 맞춰 운전한 의뢰인은 운전자 의무를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점을 피력했습니다.
또한 도보가 마련되어있지 않은 도로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피해자를 발견한 지점에서, 피해자와의 거리가 의뢰인 차량 정지거리보다 상당히 짧아 사고발생이 불가항력이었던 점을 이유로 들어 치밀한 변론을 펼쳤습니다.
변론전략 2. 피할 수 없던 사고임을 주장

cctv를 통해 파악한 당시 도로 상황을 파악한 결과 사고 발생 당시 안타깝게도 도로 위 가로등이 꺼져 어두웠던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때문에 의뢰인은 사고 발생 당시 도로에 보행자가 있을 것으로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안타깝게도 당시 피해자의 의복이 검정색 계통이었기 때문에 발견하지 못했고, 가로등도 고장나 있었기에 피해자를 사고 직전에야 발견할 수 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상황이었음을 이유로 들어 의뢰인의 사고는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것이었음을 주장하였습니다.
변론전략 3. 의뢰인이 사고방지 의무를 게을리 했다는 점 반박
사고발생 당시 의뢰인은 제한속도를 준수하여 운전하였습니다.
또한 피해자를 발견하자마자 바로 조향장치와 제동장치를 피해자의 반대쪽으로 꺾어 조작한 흔적을 발견하여 검사가 의뢰인이 사고방지 의무를 게을리하여 사고에 이르게 했다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여 의뢰인에게 무죄를 내려줄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사건은 형사소송법 제 325조에 따라 피고 사건이 범죄로 되지 않거나,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에는 판결로써 무죄를 선고해야 한다는 점을 이유로 들어 본 사건은 의뢰인의 과실이 중하다는 증거가 불충분해 증명되지 못하기 때문에 무죄를 선고해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3. 교통사고검찰송치 후 재판 단계 의뢰인 도와 무죄 처벌 받아내

교통사고검찰송치 이후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조력으로 정식 재판을 진행한 결과, 의뢰인은 ‘무죄’ 판결을 받아내어 사건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의뢰인이 범죄 초기부터 신속하게 교통사고 변호사를 찾아와 사건 초기 단계부터 꼼꼼하게 사실관계를 파악하여 실형 방어를 위한 전략을 치밀하게 세워 나갔기에 이끌어낸 결과였습니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처벌당할 위기에 놓였다면, 혼자 대응하기보다는 반드시 교통사고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증거를 수집하고 과실의 여부를 따져 대응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통사고관련 사건 경험이 풍부한 법무법인 대륜 교통사고전문변호사는 증거수집·조사 그룹과 협업해 사실관계 규명을 위한 증거를 수집하며, 원인과 책임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의뢰인의 처벌을 방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