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 의뢰인 - - 아동학대범죄로 입건된 의뢰인
 
- 2.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법령 - - 아동학대범죄 처벌형량은?
 
- 3.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대응 전략 - - 아동학대범죄 조력 ① 원만한 합의에 이르렀음을 주장
- - 아동학대범죄 조력 ② 보호조치에 해당함을 주장
- - 아동학대범죄 조력 ③ 생계유지에 문제가 발생함을 주장
 
- 4.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기소유예” - - 아동학대범죄에 연루되었다면
 
1.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 의뢰인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를 받고 있던 의뢰인이 아동복지법을 위반해 처벌받을 위기에 놓였지만, 형사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기소유예로 사건을 종결한 사례입니다.
 아동학대범죄로 입건된 의뢰인
아동학대범죄로 입건된 의뢰인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에 연루되어 도움을 요청하신 의뢰인의 사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뢰인은 아동복지 기관에서 오랜 기간 아동들의 복지와 보호를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평소처럼 피해 아동을 돌보던 중 아동이 갑자기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자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방으로 분리조치하였는데요.
또한, 아동의 과격한 행동을 제지하기 위해 팔을 살짝 때리는 등의 행동을 취하였고 이를 목격한 다른 직원이 해당 상황을 신고하면서 의뢰인은 아동학대 혐의로 입건되었습니다.
순간적인 감정을 제어하지 못한 채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입건된 의뢰인은 중한 처벌을 받게 될까 매우 불안해하셨는데요.
이에 의뢰인은 🔗아동복지법위반 사건을 다수 수행한 전문변호사와 면밀한 상담을 진행하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받고자 대륜을 방문해 주셨습니다.
더보기
2.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법령
🔗아동학대 범죄로 입건된 의뢰인은 풍부한 법률지식과 사건 수행 경험이 있는 형사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셨는데요.
형사변호사는 의뢰인의 사건을 면밀히 검토하며 사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법령을 살펴보았습니다.
 아동학대범죄 처벌형량은?
아동학대범죄 처벌형량은?
아동학대범죄 처벌형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동복지법 제71조
| 유형 | 처벌형량 | 
| 신체적 학대행위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 
| 정서적 학대행위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 
| 성적 학대행위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 
만약 아동복지시설의 종사자가 아동학대를 저질렀다면 다음과 같은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보호하는 아동에 대하여 아동학대를 범한 때에는 그 죄에 정한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한다.
아동 교육 종사자의 경우, 아동학대범죄에 연루되면 관련 기관에 취업이 어려워질 수 있어 생계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학대 혐의를 받게 된 경우, 해당 행위가 교육적인 목적에서 비롯된 불가피한 조치였으며 학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만, 사건마다 구체적인 사정이 다르므로 반드시 전문변호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대응 전략

형사변호사는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사건을 면밀히 검토하며 전략을 수립하였는데요.
검찰의 기소유예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아동학대범죄 조력 ① 원만한 합의에 이르렀음을 주장
아동학대범죄 조력 ① 원만한 합의에 이르렀음을 주장
의뢰인은 부적절한 방식으로 피해 아동을 보호한 점에 깊은 책임을 느끼고 피해자 부모에게 직접 연락하여 진심으로 사과의 뜻을 전하였습니다.
이에 피해자의 부모는 의뢰인을 용서해 원만히 합의에 이를 수 있었는데요.
의뢰인에 대한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아동학대범죄 조력 ② 보호조치에 해당함을 주장
아동학대범죄 조력 ② 보호조치에 해당함을 주장
의뢰인은 피해자의 돌발행동을 제지하는 동시에 다른 아동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보호조치를 취하고자 하였습니다.
해당 장소는 피해 아동이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공간이었으며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요.
이에 따라 의뢰인에게는 애초부터 아동학대에 대한 확정적인 고의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아동학대범죄 조력 ③ 생계유지에 문제가 발생함을 주장
아동학대범죄 조력 ③ 생계유지에 문제가 발생함을 주장
의뢰인은 아동 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로서, 당시 상황에서 보육적 필요에 따라 불가피하게 보호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혐의로 형사처벌을 받을 경우, 향후 관련 기관에의 취업이 제한되어 생계유지에 중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형사변호사는 해당 행위가 교육적 목적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학대 행위로 단정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4.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기소유예”
검찰은 형사변호사의 주장을 받아들였고 의뢰인의 사건에서 ‘기소유예’ 결정을 내렸습니다.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 처벌 방어에 성공한 의뢰인은 깊은 감사 인사를 전해주셨습니다.
 아동학대범죄에 연루되었다면
아동학대범죄에 연루되었다면























